김경자의 신작 ‘매혹적인 이미지-자연의 리듬’
오키프가 꽃을 오랫동안 그의 회화에 중요한 모티브로 삼은 것처럼 김경자 역시 꽃을 아주 중요한 대상으로 다루어 왔다. 그리고 그 시간도 20여년을 헤아린다.
그의 화풍을 되돌아보면 80년대 그는 도시와 자연의 풍경을 거친 붓질로 표현주의 성향이 강한 작품을 선보였다. 동시에 일상적인 정물로서의 꽃들의 모습도 간간이 보여주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 할 것은 이 때 부터 작가는 꽃이라는 대상의 사실적 형태나 색채 보다 꽃의 조형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90년대 들어 그의 테마는 약간의 변화를 보여주는데, 기존의 풍경과 정물을 담아내면서 더욱 과감하고 남성적인 붓 터치로 야수파풍의 원색적인 세계를 드러냈다.
당시의 작품들은 뛰어난 색채감각과 표현성 그리고 조형성이 돋보인 시기였다. 그의 이런 작업은 90년 중반 들어 더욱 원숙한 필치와 세련미로 심화되어 오랫동안 터득한 드로잉의 필선이 만나 꽃을 피웠다. 특히 거침없는 붓놀림과 감각적인 화면구성은 여류작가라는 상상이 불가 할 정도로 색감과 붓 터치의 역동적 구성미를 보여주었다.
2000년 들어 그는 모든 화면에 이성적이고 감정이 절제된 형식의 화풍으로 변모 하였다. 테마는 동일하지만 우선 다양하고 풍부한 색감을 억제하고 몇 가지 색만으로 화면에 밀도를 높이고 간결한 형태미에 집중되는 양식적 특징을 드러냈다.
거의 미니멀리즘 분위기를 풍기는 그는 이 때 부터 화면에 기호학적인 형상과 함께 동시에 공간을 분할하며 꽃 형태의 이미지가 전면적으로 등장한다.
그러면서 이전의 작품에서 볼 수 없는 부드러운 색상과 파스텔 톤. 분할 된 꽃의 탐미적 태도의 형상이 잘 어우러져 안정감 있는 회화세계를 보여 주었다.
그는 기호의 형상들과 색채의 자연스런 대비를 더함으로서 자연스러운 회화미의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점진적으로 분할된 공간의 비례나 대칭 같은 것들이 중요한 조형요소로 제시되면서 꽃의 형상은 외형적인 윤곽선만 살려놓음으로 김경자의 독자적인 화풍을 열어가기 시작하였다.
김경자는 화려한 색상에서 무채색의 조형성이 강조된 침잠 된 형식으로 전환을 가져오면서 꽃의 형태는 지워지고 <자연의 리듬>이라는 새로운 형태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김경자의 화면은 점진적으로 부드럽고 단순하게 꽃 이미지를 품으면서 추상적인 아름다움을 부여해 주는 조형적 세계로 그의 신선한 이미지를 창조 한 것이다.
무엇보다 그가 가지고 있는 <자연의 리듬> 시리즈에서 느낄 수 있는 섬세함과 예리함, 이 작품 세계는 분명 자연의 조화에서 출발하여 탐미적인 과정을 거친 추상성의 결과이기도 하다.
자연이 주는 부드러운 형태와 선, 화려한 색채를 통해 그는 자연이 주는 아름다운 절대의 세계로 가득 차 있다. 그가 일관성 있게 ‘자연의 리듬’이란 명제 아래서 추구 하는 것은 자연과의 만남이고 생명과의 교감이자 색채의 하모니이다.
김종근 (미술평론가)
김경자의 그림은 붓으로 추는 침묵의 춤이다
꽃이 떠 있다. 김경자가 떠 있다. 아니, 우리 모든 존재가 한 송이 모란처럼 떠 있다. 그러나 그냥 떠 있는 것이 아니다. 우주 공간에 자연의 리듬을 타고 떠 있는 중이다.
떠 있는 꽃과는 달리 화면 하단에 또는 좌우 측면에 예외 없이 뿌리를 내린 풀이며 억새며 까치가 앉아 있는 나무 같은 것들이 한 화면에 등장한다.
하나는 땅에 뿌리를 내린 지상적 존재라면 다른 하나는 현실을 떠나려는 자유로운 영적 존재다. 두 가지 이질적 요소가 하나의 공간에서 서로 견제와 조화를 이루며 주제를 구현해낸다. 현실과 이상 사이를 왕복운동을 하는 것이 우리의 존재 양식이라는 사실을 작가는 은유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떠 있는 꽃, 비상하는 꽃. 한마디로 말해서 김경자의 그림은 춤이다. 그냥 춤이 아니라 붓으로 추는 침묵의 춤이다. 해서 그의 그림은 이 지상의 모든 구속으로부터 우리를 순식간에 해방시킨다.
손광성(수필가, 동양화가)
김 경 자
이화여고, 이화여대졸업, 홍대대학원 서양화과수료
Art Students League (New York) 수학
Academie de la Grande Chaumiere (Paris)수학
- School of Visual Arts(New York)서양화과졸업,
- 개인전 32회 (서울, 파리, 뉴욕, 마이애미)
개인전32회 (서울, 파리, 뉴욕, 마이애미)
2019 MANIF2!2019서울국제아트페어(예술의전당)
2018 MANIF24!2018서울국제아트페어(예술의전당)
2017 김경자 초대전(M갤러리)
2016 MANIF22!2016서울국제아트페어(예술의전당)
PLAS 2016 조형아트서울2016(COEX)
청작 화랑 초대전
2014 횃불기념홀 갤러리 초대전(한국트리니티신학대학원)
MANIF20!2014서울국제아트페어(예술의전당)
2013 K-아트 프로젝트전(예술의 전당)
2012 MANIF18!2012서울국제아트페어(예술의전당)
We Gallery 초대전
2010 예술의 전당 갤러리7
하미강 갤러리 초대전
MANIF16!2010서울국제아트페어(예술의전당)
2008 MANIF14!2008서울국제아트페어(예술의전당)
2007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COEX)
MiamiArtFair(MiamiBeachConventionCenter)
2006 MAC(Manifestation dar’t Contemporain, Paris)
MANIF11!2006서울국제아트페어(예술의전당)
Art Metz(Metz,France)
KIAF(한국국제아트페어, COEX)
2005 MANIF11!2005서울국제아트페어(예술의전당)
Galerie Bruno Delarue(Paris)
‘2004 오늘의 미술가상’ 수상기념 초대전 (인사아트 센터)
도시갤러리 개관 기획초대전 (부산 도시 갤러리)
2003 Art Seoul 초대전 (예술의전당)
2002 가나 인사아트센터
2001 Gallrie Everarts (Paris)
1996 한국화랑 초대전 (서울)
Cast Iron Gallery (NewYork)
School of Visual Arts 졸업 작품전 (SVA)
1991 무역센터 현대미술관 (서울)
1988 그로리치 화랑 (서울)
- 단체전 290여회—KlAF (’03,’06,’07,’09,’10,’11,’14,’15,‘19) SOAF(’11)
화랑미술제(’11,’12,’17), MANlF(’05,’06,’08,’10,’12,’14,‘16’18,‘19,’21)
Context Art Miami, Siliconbelly Art Sanfranscisco, MAC, ArtMetz, Art Miami, Miami Scope, NewYork Art Expo, Art Sydney, Shanghai ArtFair, Singapore Art Fair, Scope Basel, Salon Comparaisons
- 창작미술 협회전(미술회관)
- 2004 오늘의 미술가상(인사아트센터), 창작미술협회전동상
-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 작품소장:서울시립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아트뱅크, 외교통상부, (주)신일기업, 사이버대학교, 중앙인사위원회, 네델란드 한국대사관,
이스라엘 한국대사관, 진부령미술관, W-Insights, Golden Tour(Paris), 동양석판,
나우여행사, 호성건영, ㈜박영사, ㈜GMD Art, ㈜이언, 법무법인우일,
㈜에스티 코퍼레이션, IMIT Corporation, 이화여고,
기독교선교 횃불재단, 강남세브란스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