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all Exhibitions

김 율 작가 초대전

11월 02 2021 - 11월 14 2021

유영하는 감각 속 조형의 언어

k.yul 작가의 <paradox> 속에는 무수한 시선들이 공존한다. 저마다의 시선은 습기 가득한 안개 속을 유영하기도, 서로 충돌해 파괴되기도 한다. 가벼운 듯 거친 그의 선율은 하나의 생명이 되어 마치 스스로 자라나 듯 춤을 추며 요동친다. 그는 의식의 경계에 멈춰 과감히 호흡한다. 들숨과 날숨 간 찰나의 줄다리기에서 새어나온 거친 태동은, 무질서 속 리드미컬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일렁이듯 보이는 푸른 덩어리 중 어떤 것은 촘촘히 짜여 진 섬유가닥 사이를 뚫고 솟아나 스스로 맺힌 것처럼 보인다. k.yul의 회화는 의미와 무의미의 긴장 속에서 실존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인간의 자아는 목적에 따라 예기된 시간을 영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연속적인 지표를 향해 끊임없이 항해하는 선박과 같은 것이다. 하이데거는 인간의 시간성을 기계적 시간성과 시원적 시간성으로 구분했다. 이는 인간 존재가 존재의 의미를 망각하고 일상에 빠져있는 기계적 시간에서 벗어나 죽음에 대한 가능성을 선험하기 위한 일종의 장치이다. 본래적 시간성, 즉 시원적 시간성은 인간이 존재의 이유를 깨닫고 궁극의 목표를 향한 질서를 지향하도록 만든다. 인간 존재는 각자의 고유한 죽음을 인지하고 삶을 결단함으로써 실존의 의미를 찾는 것이다.

 

그러한 실존의 의미를 작가는 작업방식을 일상에 빗대었다. 찌개를 끓인다- 는 관념을 실천하기 위해 수식시켜야 하는 관계들로부터 최종적으로 찌개를 실재하도록 만드는 순간까지 어느 하나 우연인 것은 없다. 캔버스 표면을 떠도는 유기체들은 그의 일상과도 같다. 언뜻 보면 분간할 수 없는 형체 같아 보이지만, 저마다 있어야 할 곳에 균형 잡으며 끈덕지게 어우러져 있다. 모여진 유기체들은 작가 과거의 시선이자 감성의 군집이라 할 수 있다. 작가의 자아로서 생명력을 지녔던 그의 감성(일상)이 그의 손끝으로부터 해방되는 순간, 그것은 이미 ‘있었던 것’(유기체)이 되고 그의 의식의 흐름으로부터 독립된다. 일상 속에서 그를 실존시켰던 의식의 흐름은 이젠 다른 ‘것’이자 과거로써, 현존하는 감성을 직시하게 만들고 다시 탄생될 새로운 지표와 조우시킨다.

 

k.yul의 감성은 다시 물감이 되어, 찌개가 되어, 일상이 되어 생활의 형태를 이룬다. 이렇듯 작가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순환 속에서 축적되는 ‘있음과 있었음’의 나선을 통해 그 만의 세계를 형상화 시킨다. 순환과 통찰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의 손놀림은 재빨라지고, 유기체는 점멸하듯 탈바꿈된다. 그의 내면에 자리 잡은 무수한 시선과 감성은 점차적으로 제각기 춤을 추며 캔버스로 옮겨진다. k.yul 고유의 푸른 언어로 재현된 작품 속 자신들은 여전히 캔버스 위를 유영하며 서로를 맴돌고 있다.

글- 산일(뮤지션)

김 율 KIM YUL

조선대학교 학사 졸업

단국대 대학원 석사 졸업

개인전

2021, 초대 개인전, 갤러리 반포대로5, 서울

2021, 초대 개인전, 청풍갤러리, 강릉

2021. 개인전, 차갤러리, 서울

2019.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16, 초대 개인전, 아이갤러리, 서울

2015, 초대 개인전, 갤러리 아띠, 서울

2014, 개인전, 송은갤러리, 남원

2012, 개인전, 인사아트센타, 서울

2012, 인도 스케치전, 갤러리 라메르, 서울

2009, 서울모던아트쇼 부스전, 한가람미술관

2008, NAAF 부스전, 일본

2007. 오슈비엔날레 부스개인전, 프랑스

2007, 개인전, 모산갤러리, 충남

2006, 개인전, 서호갤러리, 서울

2003, 개인전, 하나로갤러리, 서울

아트페어

2021. 핑크아트페어, 서울

2021, 화랑미술제, 코엑스 서울

2021. 아시아 하얏트 호텔아트페어, 부산

2021-2019. 조형아트쇼, 한국 코엑스

2019. the ARTery, 싱가포르

2019. 스콥 마이애미, 미국

2019. 뉴욕 햄튼 아트쇼, 미국

2019. 월드아트 두바이, 두바이

2019~2016, 싱가포르 어포더블, 싱가포르

2018~2017, 런던 아트페어, 런던

2018~2017, 홍콩어포더블, 홍콩

2017, 스콥 뉴욕 아트쇼, 미국

2017, LA아트쇼, 미국

2017. 광주 아트페어, 한국

2017, 뉴욕 어포더블, 미국 뉴욕

2017, 자카르타 아트페어, 인도네시아

2017, 스콥 바젤 아트쇼, 스위스 바젤

2017, 스콥 뉴욕 아트쇼, 미국

2016, 광저우 아트페어, 중국

2015, 상해아트페어, 중국

2014, 그랑팔레 앙데팡당전, , 프랑스

2014, 이란 아트페어, 이란

2013, 휴스턴 아트 페어, , 미국 휴스턴

2012, 뉴욕 어포터블, , 미국 뉴욕

2011, 멜버른 아트페어, , 호주 멜버른

2010, 루브르 살롱전, , 프랑스

2009, 취리히아트페어, , 스위스 취리히

현재: 한국미술협회 회원,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엮임

작품소장: 한국, 미국, 스위스, 싱가포르, 홍콩, 맬버른, 두바이, 스톡홀름, 영국, 벨기에 등 개인소장

  • Date: 11월 02 2021 - 11월 14 2021
  • Location:1F

 ⓒ 2021 Gallery 5, Banpo-daero. All Rights Reserved